2017 서울포럼 발표자료 (2017. 5. 25, 신라호텔)

두 번째 강연자로 나선 차두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위원 역시 획일적인 현재의 교육 시스템은 구시대적 유물에 불과하다며 “한국의 교육은 한 사람이 빠지면 다른 대체자를 바로 넣을 수 있는 공장의 컨베이어벨트와 같다”고 지적했다. 표준에 묶인 한국 교육이 획일화된 인재를 양산하고 있다는 얘기다.

실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조사에 따르면 한국은 15세 학생들의 삶의 만족도가 48개국 중 47위에 불과하다. 적성을 무시하고 대학 입시와 취업에 맞춰진 교육 시스템의 한계에 따른 결과라는 분석이다. 개개인의 다양성과 적성을 무시한 교육은 높은 청년 실업률에도 불구하고 대졸 신입사원의 1년 내 퇴사율을 28%까지 끌어 올린 요인이기도 하다. 기업 역시 회사와 맞는 인재를 만들기 위해 신입 사원 교육에 매년 천문학적인 비용을 쏟아붓는 등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이 낭비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타개하고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창조적인 인재를 만들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와 같은 획일화된 교육 시스템을 벗어 버리고 개개인에 맞춘 세분화된 교육을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사링크) http://www.sehttp://www.sedaily.com/NewsView/1OG27LRMBQdaily.com/NewsView/1OG27LRMBQ

 

슬라이드02슬라이드03슬라이드04슬라이드05슬라이드06슬라이드07슬라이드08슬라이드09슬라이드10슬라이드11슬라이드12슬라이드13슬라이드14슬라이드15슬라이드16슬라이드17슬라이드18슬라이드19슬라이드20슬라이드21슬라이드22슬라이드23슬라이드24슬라이드25슬라이드26슬라이드27슬라이드28슬라이드29슬라이드30슬라이드31슬라이드32슬라이드33슬라이드34슬라이드35슬라이드36슬라이드37슬라이드38슬라이드39슬라이드40슬라이드41

스크린샷 2017-05-26 오후 6.19.28.png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Twitter 사진

Twitter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